분류 전체보기 37

파이썬 코드컨벤션

til 0702코드 컨벤션 : 코딩스타일에 관한 약속 파이썬에서 변수,함수를 선언할 때는 스네이크Snake 표기법, 클래스를 선언할 때는 파스칼Pascal 표기법을 이용하는 게 권장된다. - 스네이크 표기법 예시 : word1_and_word2단어와 다음 단어를 언더바로 잇는 표기방법. 각 단어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한다. 언더바 때문에 뱀처럼 보여서 스네이크 표기법이다 - 파스칼 표기법 예시 : Word1AndWord2단어와 다음단어를 구분할 때 각 단어를 대문자로 하는 표기방법.  리스트를 선언할 때는 복수형(number X, numbers O)으로 적거나 number_list와 같이 리스트임을 나타낸다. 이를 따르면 표기방법만을 보고도 자료가 변수/함수인지 클래스인지 구분할 수 있다.  예외 : 상..

WIL 6월4주 0624~0628

이번주에 있었던 일, 내가 한 일매일 코드카타, 웹개발종합 60% 수강미니프로젝트 발표 듣기  느낌쉬는 시간이 1시간씩 두 번 있다 보니 9시부터 9시가 생각보다 빨리 간다. 나는 집중력이 더 필요하다. 웹종 80%까지 들었어야 하는데 도달하지 못했다. 주말을 이용해서 채워야겠다.오늘자로 꾸려진 조에서 쓰는 언어는 게중 가장 자신있는 언어인 파이썬이라 부담이 덜하다. 강의는 쉽게 이해될 것이고 개인과제까지는 무난히 할 수 있을 것 같다.  그 상황으로부터 배운 것나는 집중력이 더 필요하다. 발표한 분들을 보니 결과물 하나를 만드는 데에 여러 기술이 들어가는구나.  배운 것을 미래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웹프로그래밍에는 자바스크립트가 중요한 기술 같다. 이걸 익혀야 뭐라도 할 수 있을 텐데... 새로운 기호..

WIL 2024.06.28

자바스크립트 attr

til 0627 attr= attribute 속성$('#weather-pic') :id가 weather-pic인 태그에 대해.attr(a,b) :a라는 속성에 b를 적용한다id가 weather-pic인 태그를 찾아가보면 src라는 속성을 이미 가지고있다. src 값을 .attr('src', pic)에서 썼듯이 pic이라는 변수의 값으로 대체하게 된다.   +) 자바스크립트에서 ` ` 백틱backtick이라는 기호를 새로 만나게 됐는데 ' '따옴표와 차이가 무엇인지 아직 정확하게 모르겠다. 이해됐을 때 블로그에 써보려고 한다.

자바스크립트 기본 기능

til 0626 - 변수 선언let 변수명=값;console.log(변수명)하면 브라우저>개발자도구>콘솔에서 변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.⬇️  - 기본 연산숫자변수를 선언하고 console.log() 괄호 안에 식을 입력하면 콘솔창에서 계산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 - 문자열console.log() 안에 문자열+문자열 또는 문자열,문자열로 두 문자열을 이을 수 있다.+로 이었을 때 띄어쓰기 없이 붙는 것을 + ' ' + 공백을 붙여서 해결할 수 있다.숫자변수+문자열 하면 숫자변수를 자동으로 문자열로 취급해서 이어준다. - %연산숫자a % 숫자b 하면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한다  -리스트자바스크립트에서도 파이썬과 같이 리스트형 변수를 만들고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.  -리스트 요소 추가리스트명...

vscode html 단축키 - 주석처리, 여러 곳 커서, 코드이동

1. 주석으로 처리하기컨트롤 + /컨트롤과 슬래시를 동시에 누르면 해당 줄이 주석이 된다. 다시 컨트롤+슬래시 하면 주석이 해제된다.  2. 동시에 여러 곳 커서 두고 작업하기알트+클릭 하면 동시에 여러 곳에 커서를 두고 입력/삭제/이동 할 수 있다. 3. 코드째로 이동하기이동하길 원하는 코드가 있는 줄에서 아무 곳을 클릭하고 알트+위아래 화살표 하면 코드째로 이동할 수 있다. 이를 이용해 코드를 다른 코드 사이에 넣을 수도 있다.

파이썬 두 정수 사이의 합

알고리즘 코드카타 22번 문제 a부터 b까지 1씩 커지는 것에서 등차수열의 합을 이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. a:제1항, n:항의 수, d:공차여기서 공차가 1로 고정되게 된다.n은 주어진 b-a+1로 고정된다a는 제1항인데, 위에서 공차를 1로 고정했기에 작은 수부터 큰 수로 이어지게 해야 한다. 주어진a와 주어진b중 어느 것이 더 클지 정해져있지 않기에 a,b를 대소비교해서 작은 값을 min에, 큰 값을 max에 저장해 그중 min이 a에 들어가게 된다.a,b가 min,max에 저장됨에 따라 n도(b-a+1) (max-min+1)로 변한다. 이 식이 answer에 대입되었다.

데일리루틴 2024.06.25